
1. 감싸인 요소 컴포넌트에 여러 오소가 있다면 반드시 부모 요소 하나로 감싸야 함 import React from 'react'; function App() { return ( 리액트 테스트 ) } export default App; Virtual DOM에서 컴포넌트 변화를 감지해 낼 때 효율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컴포넌트 내부는 하나의 DOM 트리 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규칙 때문 div 대신 리액트 v16 이상 부터 도입된 Fragment라는 기능을 사용해도 됨. 형태로도 표현할 수 있음 2. 자바스크립트 표현 JSX 내부에서 코드를 { }로 감싸면 됨 import React from 'react'; function App() { const name = '리액트'; return ( {name} ..

1. 클래스형 컴포넌트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class App extends Component { render() { const name = "react"; return {name}; } } export default App; 클래스형 컴포넌트와 함수형 컴포넌트의 차이점 - 클래스형 컴포넌트의 경우 state 기능 및 라이프사이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 - 임의 메서드를 정의할 수 있다는 것 클래스형 컴포넌트에서는 render 함수가 꼭 있어야하고, 그 안에서 보여주어야 할 JSX를 반환해야함 2. 함수형 컴포넌트 - 선언하기 편함 - 메모리 자원도 클래스형 컴포넌트보다 덜 사용 - state와 라이프사이클 API의 사용이 불가능 -> Hooks..
- Total
- Today
- Yesterday
- 처음 배우는 스프링 부트2
- 스타트 스프링 부트
- MSSQL
- 스프링부트퀵스타트
- 모던 웹을 위한 JavaScript + jQuery 입문
- 배워서 바로 쓰는 스프링 부트 2
- 스프링부트 퀵스타터
- 모든 웹을 위한 JavaScript jQuery 입문
- 모던 웹을 위한 JavaScript jQuery 입문
- 프로시저
- 자바스크립트&제이쿼리
- 손에 잡히는 10분 SQL
- Linux
- Java
- 스프링부트 퀵스타트
- MS SQL Server 기본에서 실무까지
- Vue.js
- 강제 타입 변환
- 스프링부트 퀵 스타트
- springboot
- MSSQL Server 기본에서 실무까지
- 스프링 부트 퀵스타트
-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
- 스타트 스피링 부트
- Python
- JavaScript
- JAVA 기본기 다지기 프로젝트
- 자바
- 리눅스
- MSSQL 기본에서 실무까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