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1. 클래스형 컴포넌트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class App extends Component {
render() {
const name = "react";
return <div className="react">{name}</div>;
}
}
export default App;
클래스형 컴포넌트와 함수형 컴포넌트의 차이점
- 클래스형 컴포넌트의 경우 state 기능 및 라이프사이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
- 임의 메서드를 정의할 수 있다는 것
클래스형 컴포넌트에서는 render 함수가 꼭 있어야하고, 그 안에서 보여주어야 할 JSX를 반환해야함
2. 함수형 컴포넌트
- 선언하기 편함
- 메모리 자원도 클래스형 컴포넌트보다 덜 사용
- state와 라이프사이클 API의 사용이 불가능 -> Hooks라는 기능이 도입되면서 해결
3. 컴포넌트 생성
- 파일만들기 -> 코드 작성하기 -> 모듈 내보내기 및 불러오기
1 : src 디렉터리에 파일(MyComponent.js) 생성
2 : 코드 작성 (MyComponet.js 작성)
import React from "react";
const MyComponent = () => {
return <div>컴포넌트</div>;
};
export default MyComponent;
* 함수형 컴포넌트를 선언할 때 function 키워드를 사용하는 것과 화살표 함수 문법을 사용하는 것간에는 큰 차이가 없음.
3 : 모듈 내보내기(export)
export default MyComponent;
다른 파일에서 이 파일을 import할 때, 위에서 선언한 MyComponet 클래스를 불러오도록 설정함
4 : 모듈 불러오기(import | App.js 작성)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MyComponent2 from "./MyComponent2";
const App = () => {
return <MyComponent2 />;
};
export default App;
* 도서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 참조
반응형
'JS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JSX문법 (0) | 2021.02.16 |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Linux
- MSSQL Server 기본에서 실무까지
- 스타트 스프링 부트
- 모든 웹을 위한 JavaScript jQuery 입문
- JavaScript
- 스프링부트 퀵 스타트
- JAVA 기본기 다지기 프로젝트
- 자바스크립트&제이쿼리
- 리눅스
- 처음 배우는 스프링 부트2
- Java
- 자바
-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
- MSSQL 기본에서 실무까지
- 모던 웹을 위한 JavaScript + jQuery 입문
- 모던 웹을 위한 JavaScript jQuery 입문
- 스프링부트 퀵스타트
- 프로시저
- springboot
- 스타트 스피링 부트
- 손에 잡히는 10분 SQL
- MS SQL Server 기본에서 실무까지
- 강제 타입 변환
- 스프링 부트 퀵스타트
- 배워서 바로 쓰는 스프링 부트 2
- Python
- 스프링부트퀵스타트
- 스프링부트 퀵스타터
- Vue.js
- MSSQ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