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파일
- 리눅스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모든 데이터
-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 일반 파일, 하드웨어 등
- 하나의 프로세스는 하나의 작업 디렉터리를 가짐
1. 일반 파일
- 데이터를 관리하는데 주로 사용하는 일상적인 파일
- 각종 실행파일, 텍스트 파일, 이미지 파일, 프로그램 소스 파일 등 사용하는 대부분의 파일
- 실행 파일이나 이미지 파일의 경우 바이너리 형태로 저장
2. 디렉터리 파일
- 해당 디렉터리에 저장된 파일이나 하위 디렉터리에 대한 정보를 가짐
- 다른 파일을 조작하고 액세스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음
- 파일을 액세스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디렉터리'라는 파일을 이용해 전체 파일을 하나의 트리구조로 만들어 관리
3. 링크 파일
- 유닉스와 리눅스에서 링크라는 개념을 도입해 여러 개의 이름이 하나의 I-node에 연결되도록 수행
->실제 파일이나 디렉터리 혹은 또 다른 링크를 가리킴
- 링크를 추가한다는 것은 단순하게 디렉터리의 엔트리를 만드는 것
- 링크파일을 생성하기위해서는 ln 명령을 사용
- 하드 링크(드라이버 내에서 기능)
: 원본 파일을 복사하여 원본 파일과 동일한 내용의 다른 사본 파일을 만드는 것
원본 파일과 링크 파일 두 개가 서로 다른 파일로 취급
어느 하나를 삭제하더라도 나머지 하나는 그대로 남아 있음
* 원본 파일의 내용이 변경될 경우에는 복사된 링크 파일의 내용 또한 자동으로 변경!
- 심볼릭 링크(드라이버가 다르더라도 생성 가능)
: 소프트 링크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바로 가기' 기능, '단축 아이콘'과 같은 역할 수행
이미 생성된 심볼릭 링크 파일을 삭제하여도 존재된 원본 파일에는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음
원본 파일이 삭제되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링크 파일은 깜빡거리면서 원본 파일이 없음을 알림
4. 특수 파일
- 파이프, 소켓, 주변장치(디바이스)
- 디바이스
: 윈도우에선 하드디스크가 C:, D:, E: 등으로 표시 -> 리눅스에선 /dev/hda1 .. /dev/hda3과 같이 사용
* 1, 3과 같이 숫자가 C:, D:와 같은 표시임
* 도서 'Linux 시스템 구축 실무테크닉' 참조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디렉터리와 파일 관리 (0) | 2021.09.16 |
---|---|
[Linux] 파일의 구성요소 (0) | 2021.08.31 |
[Linux] 리눅스 시스템 정보 (0) | 2021.08.30 |
- Total
- Today
- Yesterday
- 프로시저
- springboot
- 스프링부트퀵스타트
- Vue.js
- 모든 웹을 위한 JavaScript jQuery 입문
- 배워서 바로 쓰는 스프링 부트 2
- 손에 잡히는 10분 SQL
- 스프링부트 퀵 스타트
-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
- MSSQL 기본에서 실무까지
- Python
- 스타트 스프링 부트
- JavaScript
- 처음 배우는 스프링 부트2
- 스프링부트 퀵스타트
- 모던 웹을 위한 JavaScript + jQuery 입문
- MSSQL
- Java
- 자바스크립트&제이쿼리
- 리눅스
- 스프링부트 퀵스타터
- 강제 타입 변환
- 스프링 부트 퀵스타트
- MSSQL Server 기본에서 실무까지
- 자바
- 모던 웹을 위한 JavaScript jQuery 입문
- Linux
- 스타트 스피링 부트
- JAVA 기본기 다지기 프로젝트
- MS SQL Server 기본에서 실무까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