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스타터의 명명규칙
spring-boot-starter-*
// 예
spring-boot-starter-web
- 단축키 (Ctrl+Space)를 이용하면 spring-boot-starter 메뉴를 불러올 수 있다.
2. 스타터 내부의 의존성 확인 방법
[1] Spring Boot Reference Guide를 참고하여 확인
https://docs.spring.io/spring-boot/docs/current/reference/htmlsingle/#using-boot-starter
Spring Boot Reference Documentation
This section goes into more detail about how you should use Spring Boot. It covers topics such as build systems, auto-configuration, and how to run your applications. We also cover some Spring Boot best practices. Although there is nothing particularly spe
docs.spring.io
<spring-boot-starter는 다음 여섯 가지 의존성을 제공>
- spring-boot : 스프링 부트에서 기존 제공하는 의존성
- spring-boot-autoconfigure : 스프링 부트의 자동 환경 구성에 필요한 의존성
- spring-boot-starter-logging : 각종 로그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의존성
- javax.annontation-api : 소프트웨어의 결함을 탐지하는 어노테이션을 지원하는 의존성
- spring-core : 스프링 코어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의존성
- snakeyaml : yaml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의존성
[2] IDE에서 직접 찾는 방법
3. 실습을 통해 다룰 스타터
스타터명 | 설명 |
spring-boot-starter | 스프링 부트의 코어. auto-configuration, logging, yaml 제공 |
spring-boot-starter-aop |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aspect-oriented programming, AOP)을 위한 스타터 |
spring-boot-starter-batch | 스프링 배치(Spring Batch)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스타터 |
spring-boot-starter-data-jpa | 스프링 데이터 JPA(Spring Data JPA)와 하이버네이트(Hibernate)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스타터 |
spring-boot-starter-data-redis | 메모리 저장 방식의 저장소인 레디스(Redis)와 자바에서 쉽게 레디스를 사용하게끔 도와주는 제디스(Jedis) 설정 자동화 스타터 |
spring-boot-starter-data-rest | 스프링 데이터 저장소(Spring Data Repositories) 방식에 맞춘 REST API를 제공하는데 사용하는 스타터 |
spring-boot-starter-thymeleaf | 타임리프(Thymeleaf) 템플릿 엔진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스타터 |
spring-boot-starter-security | 각종 보안에 사용하는 스프링 시큐리티 스타터 |
spring-boot-starter-oauth2 | OAuth2 인증에 사용하는 스타터 |
spring-boot-starter-validation | 자바 빈 검증(Java Bean Validation)에 사용하는 스타터 |
spring-boot-starter-web | 웹을 만드는 데 사용하는 스타터(스프링 MVC, REST형, 임베디드 톰캣, 기타 라이브러리 포함) |
'WEB_Develop >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boot] 프로젝트 생성 (0) | 2021.04.03 |
---|---|
[springboot] application.properties 설정들 (0) | 2021.02.25 |
[springboot] 웹 애플리케이션 작성 - 5.롬복 라이브러리 사용 (0) | 2020.08.13 |
[springboot] 웹 애플리케이션 작성 - 4.스프링 DevTools 사용하기 (0) | 2020.08.13 |
[springboot] 웹 애플리케이션 작성 - 3.REST 컨트롤러 사용하기 (0) | 2020.08.13 |
- Total
- Today
- Yesterday
- 배워서 바로 쓰는 스프링 부트 2
- MSSQL Server 기본에서 실무까지
- 스타트 스피링 부트
- 리눅스
- 스프링부트퀵스타트
- MSSQL 기본에서 실무까지
- 스프링부트 퀵스타터
- Python
- JAVA 기본기 다지기 프로젝트
- Vue.js
- JavaScript
- 손에 잡히는 10분 SQL
- MSSQL
- 모든 웹을 위한 JavaScript jQuery 입문
- MS SQL Server 기본에서 실무까지
- 스프링부트 퀵스타트
-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
- 자바
- 모던 웹을 위한 JavaScript jQuery 입문
- 스프링 부트 퀵스타트
- 모던 웹을 위한 JavaScript + jQuery 입문
- 스프링부트 퀵 스타트
- Linux
- Java
- 처음 배우는 스프링 부트2
- 프로시저
- 자바스크립트&제이쿼리
- springboot
- 강제 타입 변환
- 스타트 스프링 부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